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이야기

돈을 버는 것과 잃는 것 중 어느 것을 택할까? 손실회피성에 대하여

by 경제닥터 2020. 2. 27.
반응형

1.  돈을 잃기 싫어하는 사람들의 성향

 

대니얼 카너만 교수의 실험을 생각해봅시다.

문제 1) 당신에게 100만원이 생겼다. 다음 두 가지 선택권 중 어느 것을 고를 것인가?

1.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오면 200만원을 가지고 지면 뒷면이 나오면 100만원을 가진다.

2. 내기에 응하지 않으면 50만원을 더 가질 수 있다.

 

문제 2) 당신에게 200만원이 있고 다음 선택권이 있다.

1.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오면 200만원을 가지고 지면 반을 잃게 된다. 즉 100만원을 가진다.

2. 내기에 응하지 않으면 무조건 50만원을 내놓아야 한다.

 

 

위의 문제에는 사람들은 2번을 고르고 아래의 문제에는 사람들이 1번을 고릅니다.

자세히 보시면 알겠지만 두 상황에 대한 선택의 결과, 즉 150만원을 얻는다는 것은 두 상황 모두 같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 문제에 대해 굉장히 다르게 느낍니다. 왜 일까요?


2. 손실 회피성에 대하여

 

위의 1)번 문제는 확실한 선택에 따른 이득을 제시하고, 2)번 문제는 확실한 선택에 따른 손실을 제시합니다.

 

위 실험에 대해 사람들이 보고 다르게 생각하는 방식을 전문 용어로 '손실 회피 성향'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성향은 행동경제학에서 중요한 발견 중 하나라고 합니다. 금전적인 문제로 의사 결정을 할 때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돈을 버는 것을 좋아하지만 돈을 잃는 것을 싫어합니다.

다만, 돈을 잃는 것을 돈을 버는 것보다 더 중요하고 크게 느낀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손실 회피 성향을 발전시킨 아모스 트버스키, 대니얼 카너만은 여러 연구를 통해 이러한 손실 회피 성향이 측정할 수 있다고 결론을 지었습니다. 그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돈을 잃는 것을 돈을 얻는 것보다 2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3. 시장에서의 적용 예시

 

  • 주식에서의 상황

흔히 손실을 많이 보는 투자자들을 보면 이익이 나면 짧게 이득을 취하고, 손실이 나면 길게 버티다가 흔히 말하는 존버를 하거나 계속 홀딩을 하다가 크게 손절매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또한 손실 회피 성향에 따른 결과입니다. 손실을 확정하기 싫은 마음에 계속 해당 종목을 보유하는 것이 손실 회피 성향이 반영되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보험에서의 상황

보험이란 미래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보장을 들어두는 것입니다. 화재, 홍수, 의료적 질병과 같은 끔찍한 상황에 대한 위험, 손실에 대한 값을 보험이란 상품으로 미리 지불해 두는 것이지요. 하지만 대부분의 피보험자는 납부한 액수만큼의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받을 상황이 없다는 것이 더 맞는 표현이겠습니다. 손실 회피 성향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사람들은 미래에 생길 손실이나 손해를 회피하고자 보험이라는 수단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것입니다.


4. 맺음말

 

위에서 보았듯 사람들은 잃는 것을 더 싫어합니다. 이는 원숭이들을 이용한 실험으로도 진화론적으로도 설명되었습니다. 우리는 사람들에게 내리박힌 이러한 사고를 이용하여 이성적인 경제활동을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투자자, 사업가, 일반 소비자 등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배송업체가 어느 물품을 발송하는 상황에 대해

 1) 4일이 걸린다고 소비자에게 미리 고지

 2) 3일이 걸린다고 하였다가 3일째 되는 날에 하루가 지연된다고 소비자에게 고지

 

하는 상황을 생각해보면 모두 4일째에 물품을 받는 것은 동일하지만 2)의 상황에서 소비자는 손해를 본다고 느끼게 됩니다. 확정되지 않는 지연에 대한 것을 손해라고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배송업체는 무리하게 배송일자를 경쟁적으로 일수를 줄여 고지하는 것이 아닌 넉넉하게 고지를 하는 것이 좀 더 경제적으로 합리적이다 생각 할 수 있겠지요.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위의 개념은 잘 생각해보고 적용하면 좀 더 합리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반응형